원래는 1편부터 회차를 진행해가면서 이전 편과 연관되는 내용으로 Mind mining을 구성하려 했는데
생각보다 쉽지가 않네요. 앞으로는 옴니버스 형식을 취하려 합니다. 회차별 연속성은 조금 떨어져서 죄송하지만 형식을 자유롭게 취한만큼, 향상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겠습니다.
[Mind mining #5] 아웃풋(output)을 만들어야 한다.
시간을 크게 2가지로 나누어야 한다면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요?
저는 소비하는 시간과 생산하는 시간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소비하는 시간과 생산하는 시간의 구체적인 내용들은 무엇일까요 ?
먼저 소비하는 시간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제가 정의한 소비하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같습니다.
'소비하는 시간은 미래를 연결하는 힘이 약한 시간이다' 정의만으로는 이해가 쉽지 않으니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TV를 시청했다고 합시다. TV를 보았고 그 시간 동안 행복과 재미를 느꼈습니다. 1주일이 지났습니다. 매주 토요일 마다 하는 예능을 보기 위해 또 TV를 보았습니다. 극단적이지만 이 상황에서 1년 10년 50년이 흘렀습니다. 50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TV를 보고 있습니다. TV를 보는 순간마다 작은 행복을 얻고 있지만 인생은 여전히 제자리에 머물러 변하지 못하였습니다. 소비하는 시간을 생산하는 시간으로 바꾸지 못해 '나'를 변화시키지 못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 사람이 소비하는 시간을 생산하는 시간으로 바꾸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생산하는 시간을 통해 아웃풋을 만들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아웃풋을 점차 쌓아나갔을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미래와의 연결을 아웃풋을 통해 해나가고 있었을 것입니다. 처음에는 작은 아웃풋에 불과했지만 복리처럼 쌓인 아웃풋은 인생 전반을 바꾸었을 것입니다.
왜 아웃풋이 중요할까요? 앞서 말했듯이 '아웃풋'을 만드는 활동이 인생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경제력이 인생에서 차지하는 부분을 무시할 수 없으니 경제력 부분에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돈을 버는 활동들은 모두 아웃풋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유튜브 영상을 한 편 만드는 상황을 가정해보면. 영상의 스토리를 만드는 작가는 돈을 법니다. 영상을 편집 한 사람도 돈을 법니다. 영상에 자막을 입힌 사람도 돈을 법니다. 영상을 최적화 하는 사람도 돈을 법니다. 자신만의 아웃풋으로 다 돈을 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영상을 보는 사람은 돈을 씁니다. 실제로 돈을 쓰지 않을지라도 아웃풋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시간을 사용한 '소비'를 했기 때문이죠,
이를 다시 정리하여 단순하게 바라보면 아웃풋을 만든 사람은 돈을 벌지만 소비를 한 사람은 돈을 잃습니다. 이 차이가 처음에는 별게 아닌 것 같지만 아웃풋이 쌓이다보면 더 큰 규모의 아웃풋을 생성해낼 수 있는 힘이 생기고 이 힘은 인생 전반적인 경제력 차이를 만들어 낼 것입니다.
아웃풋을 만드십시오. 거창한 아웃풋이 아니어도 좋습니다. 어제의 나보다 작은 아웃풋을 하나 더 만든다면 내일의 나는 달라질 수 있을 것입니다.
'Mind min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nd mining #4] 당신이 행동하지 못하는 이유 (0) | 2020.03.16 |
---|---|
[Mind mining #3] 작은 것이라도 성공의 경험을 쌓아야 한다. (0) | 2020.02.20 |
[Mind Mining #2] 긍정적인 생각은 힘을 가지고 있다. (0) | 2020.02.17 |
[Mind mining #1]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라. (0) | 2020.01.15 |
[Mind mining #0] 과거로부터 벗어나라 (0) | 202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