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d mining (7) 썸네일형 리스트형 [Mind mining #5] 아웃풋(output)을 만들어야 한다. 원래는 1편부터 회차를 진행해가면서 이전 편과 연관되는 내용으로 Mind mining을 구성하려 했는데 생각보다 쉽지가 않네요. 앞으로는 옴니버스 형식을 취하려 합니다. 회차별 연속성은 조금 떨어져서 죄송하지만 형식을 자유롭게 취한만큼, 향상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겠습니다. [Mind mining #5] 아웃풋(output)을 만들어야 한다. 시간을 크게 2가지로 나누어야 한다면 어떻게 나누어야 할까요? 저는 소비하는 시간과 생산하는 시간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소비하는 시간과 생산하는 시간의 구체적인 내용들은 무엇일까요 ? 먼저 소비하는 시간에 대해 말해보겠습니다. 제가 정의한 소비하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같습니다. '소비하는 시간은 미래를 연결하는 힘이 약한 시간이다' 정의만으로는.. [Mind mining #4] 당신이 행동하지 못하는 이유 [Mind mining #4] 당신이 행동하지 못하는 이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우리가 행동하지 못하는 이유는 의식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의식을 하지 않는다면 여러분에게 1억년의 시간이 주어진다 하더라도 반드시 일을 하지 못할 것 입니다. 오늘 하지 못한 일을 내일이 된다고 할 수 있을까요 ? 내일이라는 추가적인 시간이 주어졌어도 해야만 한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는다면 절대로 할 수 없습니다. 행동할 수 있는 방법은 간절히 생각하는 것 밖에는 없습니다. 그렇기에 항상 의식하고 간절히 생각하는 것 (Realization = vividlydream)은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의식하지 않고 눈 앞에 보이는 것만 보고 살아간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는 시간을 주도하지 못하고 끌려만 다니는 삶을 살아야.. [Mind mining #3] 작은 것이라도 성공의 경험을 쌓아야 한다. [Mind mining #3] 작은 것이라도 성공의 경험을 쌓아야 한다. 2014년 미국 해군 대장으로 전역한 맥레이븐(現 텍사스 대학교 총장)은 졸업식 연설 때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세상을 변화시키고 싶으세요? 침대정돈부터 똑바로 정돈 하세요' 엥? 세상을 변화시키는데 침대정돈이랑 무슨 상관이지? 침대정돈을 하면 세상이 바뀌나?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는 한 문장이지만 '큰 성공을 위해서는 작은 것부터 성공을 해봐라'라고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큰 성공을 위해서는 작은 것부터 성공 하여야 한다.] 우리가 큰일을 하기 위해서는 작은일에서부터 성공의 경험을 쌓아야 합니다. 첫번째 이유로는 한번에 큰 성공을 이룰 수 있다면 좋겠지만 꼭 그럴 수는 없기 때문이고 두 번째 이유로는 성공했던 경험이 없.. [Mind Mining #2] 긍정적인 생각은 힘을 가지고 있다. 긍정적인 생각은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 행동의 90%이상은 무의식에서 비롯됩니다. 때문에 무의식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가득 채워 넣는다면 놀라운 일이 일어납니다. 긍정적인 생각을 통해 놀라운 일을 직접 경험해보세요! [어떻게 긍정적인 생각만으로도 놀라운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 우리의 뇌는 사실과 허구를 구별하지 못합니다. 무엇이 사실이고 무엇이 거짓인지 판단하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뇌는 거짓도 사실로 착각하기도 합니다. 실제로는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지만 부정적인 생각만으로 괴로움과 고통이 느껴지는 경험을 해보시지 않으셨나요 ? 우리의 뇌가 부정적인 생각을 실제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어떨까요? 당연히 결과도 반대일 것입니다. 긍정적인 생각만.. [Mind mining #1]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라. [Mind mining #1]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라. 과거가 더 이상 나에게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걸 알게 되었나요? 그렇다면 우리는 이제 현재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과거로부터 벗어난다는 개념이 생겼지만 그 사실만으로는 성공에 이르기에 부족합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더 많은 잠재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현재에 주목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현재에 주목할 수 있을까요? 그 방법은 현재 있는 그대로의 나를 인정하는 것입니다. 나의 현 상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면, 허황된 판단에 의해, 고쳐나가야할 부분들을 못고치게 되고 현실에서 동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 결과의 끝은 좋지 않습니다. 수능과 모의고사를 예로 들어보죠 제가 입시를 겪던 시절.. [Mind mining #0] 과거로부터 벗어나라 [Mind mining #0] 과거로부터 벗어나라 실패를 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습니다. 완벽하다 생각되는 이들도 온전한 길만은 걸어오지 않았습니다. 앞서 말한 문장이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이 들더라도 한번만 더 재고를 해봅시다. 우리의 목적은 긍정적인 사고를 문맥(블로그 소개 참조)으로 만드는데에 있으니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우리는 생각의 방식을 바꾸어야합니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한계적 사고 방식으로요. 한계적 사고란? 한계적 변화의 이득과 비용을 고려하여 앞으로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 입니다. 쉽게 풀어서 설명을 해보죠. 배가 아주 고픈데 사과를 먹는다고 가정 해 봅시다. 배가 아주 고플때 사과 1개를 먹는다면 기분이 좋아질 것 입니다. 다음으로 사과 1개를 더 먹는다해도 기분이 좋아질 것이지만 앞에.. [블로그 소개] Mind mining [블로그 소개] Mind mining □what is 'mind mining'? -마음(mind)과 채굴하다 (mining)를 합성하여 만든 용어 입니다. 수 많은 데이터들 속 에서 의미있는 정보들을 뽑아내는 datamining(data + mining)이란 단어를 참고하였습니다. □what's that meaning? - Datamining 과정 中 Mining을 하지 않았을 때는 단순한 정보의 나열에 불과하지만 (Data의 상태) Mining을 하게되면 가치가 더해져 하나의 의미로 재 탄생하게 됩니다. (information의 상태) 데이터(Data) ex)51 77 58 82 64 70 가공되지 않은 있는 그대로의 사실/개념/수치/문자. 정보(information) ex)51 77 58 82 64 .. 이전 1 다음